
오늘은 크롬 다크모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 구글 크롬 같은 경우 다크모드 설정이 네이버처럼 눈에 바로 보이는 곳에 있지 않죠? 그래서 처음이신 분들은 조금 헤매실 수 있습니다. 그럼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구글 크롬 다크모드 설정 방법

우선 PC에서 크롬 다크모드 설정 방법입니다.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한 다음에 오른쪽 위의 점 세 개를 눌러서 메뉴 창을 실행합니다. 여기서 하단의 [설정]을 눌러주세요.

그리고 좌측 메뉴의 [모양]을 누르면 오른쪽에 [테마, Chrome 웹 스토어 열기]라고 보이실 거예요. 눌러줍니다. (또는 아래 주소를 통해 바로 들어가셔도 됩니다)

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는 크롬 웹스토어 아시죠? 이 웹스토어는 크롬을 강력한 브라우저로 만들어주는 핵심 무기 저장소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. 현재는 확장 프로그램이 아닌 테마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해야 합니다. 오른쪽 다양한 테마들이 있는데요. (현재 페이지가 잘려서 그런데 실제로는 더 많은 결과들이 보이실 겁니다) 이 중에서 [Color Themes by Chrome]의 [Just Black]을 눌러줍니다.

만약 위의 결과물들이 안 보이신다면 검색 창에 [Just Black]을 직접 입력하시면 이렇게 바로 나오니 참고해 주세요.

이 테마로 들어가서 확장 프로그램 설치하듯이 똑같이 해주시면 됩니다. 오른쪽 위의 [Chrome에 추가]를 눌러줍니다. 그럼 바로 설치가 됩니다.

동시에 이렇게 크롬 창 컬러가 다크모드, 어두운 배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마음에 안 드시면 [실행 취소]를 누르면 되는데 아직 어떻게 바뀌었는지 제대로 확인을 안 했으니 벌서 취소를 누르실 필요는 없겠죠? 그리고 언제든지 이 다크모드는 원래대로 돌릴 수 있습니다. 아래에 그 방법도 설명해 드릴게요.

구글을 가 보니 이런 식으로 바뀌었습니다. 어떠신가요? 확실히 눈에 피로가 덜한 느낌을 받습니다.
구글 크롬 다크모드 설정 해제하기

방금 설정 > 모양으로 들어갔을 때 화면입니다. 처음에는 [테마, Chrome 웹 스토어 열기]로 되어있던 부분이 지금은 [테마, Just Black]으로 바뀌어있죠? 여기 오른쪽 끝에 보면 파란 글씨로 [기본 설정으로 돌아가기]라고 되어있으니 언제든지 마음에 안 드신다면 이 버튼을 눌러서 다크모드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.
크롬 맞춤설정으로 다크모드 설정하기

그리고 또 다른 다크모드 설정 방법이 있는데요. 첫 화면의 오른쪽 아래를 보면 [(크롬)맞춤 설정]이라는 버튼이 보이실 거예요. 여기를 눌러줍니다.

왼쪽 메뉴에서 [색상 및 테마]를 누르면 맨 위에 내가 설치한 테마에 대한 정보가 나오고 (여기서도 제거, 해제할 수 있습니다) 그 아래에 다양한 배색 버튼이 나옵니다. 오른쪽 끝의 어두운 배색을 선택하고 완료를 눌러보겠습니다.

아까는 배경이 완전히 검정색이었는데 지금은 어두운 회색으로 바뀌었죠? 눈에 더 편안한 버전으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.
크롬 다크모드 윈도우 10 설정 방법

이번에는 윈도우 10에서의 자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다크모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. 윈도우 10의 시작 버튼을 누르고 그 위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.

그리고 배경, 잠금 화면, 색 등을 설정할 수 있는 [개인 설정]으로 들어갑니다.

왼쪽 메뉴에서 [색]을 선택하면 오른쪽에 다양한 배경색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
색 선택, 기본 윈도우 모드 선택, 기본 앱 모드 선택을 모두 어둡게로 바꿔주시면 이렇게 윈도우 10 자체가 다크모드로 설정됩니다.

이 상태에서 크롬을 접속하면 역시나 어두운 배색으로 나오게 됩니다.
크롬 다크모드 아이폰

아이폰에서는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? 아이폰의 설정에서 [디스플레이 및 밝기]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 화면 스타일을 [다크 모드]로 선택하고 크롬에 접속하면 간단하게 어두운 화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<함께 읽으면 좋은 글>
▶ 코로나 필수 앱, 쿠브 설치하기
▶ 네이버 QR 인증 코드 설치하기
▶ 카카오 QR 인증 코드 설치하기
▶ 크롬 시작화면 배경 바꾸기